한일 경제사령탑 "양국 통화 가치 하락 심각한 우려”

입력
2024.06.25 17:26
수정
2024.06.25 17:53
2면
구독

8년 만에 서울에서 개최
세계 경제 "완만한 회복"
금융안전성 개선 지속 논의

최상목(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이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최상목(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이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한일 경제사령탑이 강달러 현상에 따른 양국 통화가치 하락에 우려를 표하며 금융안전성 강화 방안을 지속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과 일본이 당면한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향후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자원개발‧공급망 구축을 위한 제3국 공동 진출도 강화할 방침이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제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를 열어 향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에서 해당 회의가 열린 건 8년 만이다. 2006년 시작된 한일 재무장관회의는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등으로 양국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2017년부터 개최되지 않다가 지난해 6월 제8차 회의를 계기로 7년 만에 재개됐다.

이날 회의에서 양국 경제사령탑은 “세계 경제가 완만한 회복 국면”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계속되는 지정학적 갈등과 주요 교역국의 성장 둔화 가능성, 외환시장 변동성 심화 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이들은 양국의 통화 가치 하락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적절한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원·달러 환율은 1,400원, 엔·달러 환율은 160엔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공조 강화 방안도 논의했다. 지난해 재개한 한일 통화스와프에 대해 “양국의 금융안전성을 강화했다”고 평가한 두 사람은 “개선 방안을 향후 지속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제3국 공동진출에 대해 실질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해 6월 수출입은행과 일본국제협력은행(JBIC)은 제3국 인프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올해 2월 칠레 구리광산 증설 사업에 공동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최 부총리는 “한국과 일본이 양국 공통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 공동 대응 파트너, 경제 공동 번영 파트너, 글로벌 문제에 대한 공동 협력 파트너가 되길 기대한다”며 “이러한 세 가지 파트너십은 내년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앞두고 한일 관계를 한층 더 도약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변태섭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